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매년 이맘 때면 화성이나 수원, 오산 같은 경기 남부 도심에 불청객이 찾아옵니다. <br> <br>새카맣게 몰려드는 까마귀떼인데요. <br> <br>쫓아내면 오히려 더 많아져서 되돌아온다는데, 현장카메라 전민영 기자가 다녀왔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상가가 밀집한 도심 번화가입니다. <br> <br>그런데 하늘에는 까마귀 수백 마리가 날아다니고 전깃줄에 빼곡히 앉아 있는데요. <br> <br>대체 왜 도심에서 이러는 걸까요. <br> <br>현장 취재해보겠습니다.<br> <br>경기도 화성 진안동. <br> <br>날이 어두워지자 새까만 까마귀 떼 행렬이 끝없이 이어집니다. <br> <br>하늘 위를 수차례 빙빙 돌더니, 200여 미터 전깃줄에 빈틈없이 자리를 잡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아악! 완전 많아. 진짜 싫어." <br> <br>참다못한 상점 직원이 전신주를 쳐보지만 소용없습니다. <br> <br>[식당 직원] <br>"매년 와서 앉아요. 딴 데 가라고 (치는 거예요)." <br> <br>길가에 주차했던 차량은 불과 2시간 만에 까마귀 배설물로 뒤덮였습니다. <br> <br>[권세동 / 경기 화성시] <br>"지금도 똥 떨어지는 소리 또 들렸죠. 세차 맡겨야죠. 돈 30만 원 깨지게 생겼어요." <br> <br>바로 옆 수원, 오산도 도심을 점령한 떼까마귀 때문에 골치를 썩고 있습니다. <br> <br>철새인 떼까마귀는 몽골이나 중국, 러시아에 있다 11월부터 2월 사이 우리나라로 겨울을 나러 옵니다. <br> <br>매번 오는 곳에 오는데 남쪽은 울산과 전북 김제, 중부는 경기 남부가 겨울 서식지입니다.<br> <br>경기 남부에 나타나는 개체 수만 2만~3만 마리입니다. <br> <br>[이강석 / 화성시 환경사업소 수질관리과] <br>"개체 수는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 같아요." <br> <br>그런데 떼까마귀가 몰리는 수원, 화성, 오산을 보면 공통점이 있습니다. <br> <br>도심 근처에 농경지와 과수원이 바로 붙어 있다는 겁니다. <br><br>수리부엉이 같은 천적이 없는 도심을 선호하는데 신도시보다 구도심, 거기서도 주택가보다 번화가를 좋아합니다. <br> <br>앉을 전깃줄이 있는데다 가로등과 간판들로 밤에도 발아래가 훤히 보이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최유성 / 국가철새연구센터 연구사] <br>"숲은 완전히 깜깜합니다. (도심지역이) 천적이나 위험 요인을 확인하기 훨씬 좋은 환경이지 않나 그걸 이용하는 거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유해조수로 지정돼 있고 도시도 엉망으로 만들어 레이저 쏘며 갖은 방법으로 쫓아내 보지만 그때뿐입니다. <br> <br>[김경화 / 화성시 퇴치전담반 작업자] <br>"계속 왔다 갔다 하는 식이에요. 쫓는다고 하지만 결국은 남아 있어요. 반복해서 쫓는 것밖에 없어요." <br> <br>[경기 수원시청 관계자] <br>"두 번 세 번 왔다 갔다 하면서 (퇴치)하고는 있거든요. 그래도 앉으면 그 이후로는 방법이 없고요. 막막하고…." <br> <br>길어야 넉 달 더부살이인 만큼 참고 살자는 의견도 있지만 개체 수가 급격히 늘어날 경우 특단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전민영입니다. <br> <br>PD : 장동하 윤순용 <br>AD : 석동은 <br>작가 : 전다정<br /><br /><br />전민영 기자 pencake@ichannela.com